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line width
- 3D tiles
- publish/subscribe
- PDAL
- Potree
- Cesium
- GIS
- GeoServer
- extent linestring
- attribute Selector
- VWORLD
- raster2pgsql
- 3DTiles
- threejs
- css
- anotherdxfimporter
- display:flex
- QGIS
- PostGIS
- GDAL
- PointCloud
- jupyternotebook
- pg_notify
- WMTS
- DXF
- gdal2tiles
- CesiumJS
- PostgreSQL
- georeferrencing
- Line Dashed
- Today
- Total
목록CesiumJS (3)
코드조각 저장소

작성한 다른 글에서 사용하려고 테스트 데이터를 만드는 과정을 해결하여 정리해 봅니다. 사용하는 데이터셋은 비슷합니다만 GDAL만으로 처리하기에는 실력 부족으로 막혔던 부분을 데이터베이스에 raster데이터를 적재하고 각 포인트의 값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해결하였습니다. PointCloud의 자료 형식은 많이 있지만 제일 단순하다고 판단된 [ Text : X Y Z R G B ] 형식으로 원천 데이터를 생성하였고 CloudCompare등을 통해 LAS, PLY등으로 변환하여 사용 할 수 있었습니다. 처음 사용한 자료는 국토정보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공개(DEM) 자료를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이자료는 구역별 높이값을 제공하고 있어서 생성된 결과물에 계단 처럼 층이 저 있었습니다. 그래서 표고데이터 및 등고선 데이..

이전 글에서 WMS tiles를 만들 었고, 이번에는 뼈대와 같은 Mesh Tiles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정확히는 Quantized Mesh로 칭합니다만 이 데이터 포멧을 구현한 Cesium Terrain과 CesiumJS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의 Tiles 입니다. 처음 시도할 때에는 WMS와 같이 평범한 Web 서버를 통해 서비스 되는 줄로 이해했습니다. 하지만 동일한 방법으로는 예제의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결론적으로는 Cesium Terrain Server를 이용해야만 정상적으로 동작하였고 차이점은 빈 Tile 데이터의 처리를 서버쪽에서 어떻게 하느냐 정도로 이해하고 넘어 갔습니다. 그래서 생성된 결과물을 확인하려면 3D Tiles의 Cesium Terrain Server와 ..

(출처 : developer.here.com/blog/visualizing-large-scale-terrain-with-open-source-tool-tin-terrain ) 대용량 PointCloud를 Web상에서 표현하는 것은 많은 기술들이 필요합니다. 이를 좀 더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려 합니다. OpenSource인 CesiumJS를 활용할 것이나 CesiumJS에서 사용하는 3DTiles는 Cesium-ION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쉽고 현명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이번에는 CesiumION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 있어 정리해 보았습니다. 3D Tile이라는 것과 이를 생성하는 방법은 여러개가 있겠지만, 여기서는 PointCloud 이용하여 3D Tile을 생성하고 Web 상에서 확인..